[JavaScript] 연산자
연산자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말그대로 연산을 위해 쓰이는 문법이다.
연산자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과 같은 산술 연산과 문자 결합 연산, 증감, 비교, 논리, 삼항 조건 연산자등 다양한 연산자가 있다.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나머지 등이 있으며 산술 연산자로 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연산 대상 값이 반드시 2개 이상 있어야 한다.
종류 | 기본형 | 설명 |
+ | A + B | 더하기 |
- | A - B | 빼기 |
* | A * B | 곱하기 |
/ | A / B | 나누기 |
% |
A % B | 나머지 |
문자 결합 연산자
문자 결합 연산자의 연산대상은 문자형 데이터로써 여러 개의 문자를 하나의 문자로 결합할 때 사용한다.
var a = "100";
var b = 20;
var result = a + b;
console.log(result); //10020
위 코드의 결과를 보면 변수b는 정수형 데이터지만 문자와 결합 함으로써 문자 취급을 당해 콘솔에는 "10020" 이라는 결과가 나온다.
var str1 = "Hello ";
var str2 = "JavaScript!!";
var result = str1 + str2;
console.log(result); //Hello Wolrd!!
위 코드의 결과는 str1과 str2를 결합하여 Hello World!!라는 결과가 나온다.
대입 연산자
대입 연산자 ( = ) 는 연산된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수학에서 ( = ) 는 같다라는 의미 이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오른쪽 데이터 값을 왼 쪽 변수에 저장한다는 의미이다.
종 류 | 풀 이 |
A = B | A = B |
A += B | A = A + B |
A *= B | A = A * B |
A /= B | A = A / B |
A %= B | A = A % B |
%기호가 생소 할 수도 있는데 %기호는 A 를 B로 남은 나머지를 뜻한다. 예를 들어 10 % 3이라면 결과느 1이나온다.
var a = 10;
var b = 3;
console.log(a %= b); //1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는 특정 숫자형 데이터를 1씩 증가 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며 반복문 등에서 특히 많이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종 류 | 풀 이 |
변수 ++ | 변수의 값을 다음 행에서 1 증가 시킨다. |
++ 변수 | 변수의 값을 바로 1 증가 시킨다. |
변수 -- | 변수의 값을 다음 행에서 1 감소 시킨다. |
-- 변수 | 변수의 값을 바로 1 감소 시킨다. |
var a = 10;
console.log(a ++); // a = 10 현재 행에서는 증가하지 않고 다음 행에서 증가한다.
console.log(a); // a = 11
var b = 10;
console.log(++b); // b = 11 현재 행에서 바로 증가한다.
console.log(b); // b = 11
var c = 10;
console.log(c --); // c = 10 현재 행에서는 감소하지 않고 다음 행에서 감소한다.
console.log(c); // c = 9
var d = 10;
console.log(--d); // d = 9 현재 행에서 바로 감소한다.
console.log(d); // d = 9
for(var i = 2; i <= 9; i++) {
for(var j = 1; j <= 9; j++) {
console.log(i + " x " + j + " = " + (i*j));
}
}
증감 연산자를 사용하는 반복문으로 간단하게 구구단도 구현할 수 있다.
비교 연산자
두 데이터를 비교하여 '크다', '작다', '같다'를 비교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이다.
연산의 결과는 true(참), false(거짓) 둘 중 조건식의 맞는 논리형 데이터를 반환한다.
종 류 | 설 명 |
A > B | A가 B보다 크다. |
A < B | A가 B보다 작다. |
A >= B | A가 B보다 크거나 같다. |
A <= B | A가 B보다 작거나 같다. |
A == B | A와 B는 같다. |
A != B | A와 B는 다르다. |
var a = 10;
var b = 20;
console.log(a > b); //false
console.log(a < b); //true
console.log(a >= b); //false
console.log(a <= b); //true
console.log(a == b); //false
console.log(a != b); //true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는 피연사가 논리형 데이터인 true 또는 false로 결과값을 반환한다.
종 류 | 설 명 |
|| | or연산자라고 하며 피연사자 중 하나라도 true면 true를 반환한다. |
&& | and 연산자이며 피연산자 둘 중 하나라도 false면 false를 반환한다. |
! | not 연산자로 값이 true면 false 로 false면 true로 값을 반전하여 반환한다. |
연산자 우선순위
- ()
- 단항 연산자( --, ++ , !)
- 산술 연산자 (* , / , % , +, - )
- 비교 연산자( > , >= , < , <= , == , ===, !==, != )
- 논리 연산자 ( && , ||)
- 대입(복학 대입)연산자 ( = , += , -=, *=, /= , %= )
"본 내용은 필자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Do it 자바스크립 + 제이쿼리 입문을 참고 하여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