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Oracle] 숫자 함수

noobdev 2020. 2. 20. 15:22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숫자 함수 중 비교적 많이 사용되는 함수 정리

함수 설명
ROUND 지정된 숫자의 특정 위치에서 반올림한 값을 반환
TRUNC 지정된 숫자의 특정 위치에서 버림한 값을 반환
CEIL 지정된 숫자보다 큰 정수 중 작은 정수를 반환
FLOOR 지정된 숫자보다 작은 정수 중 가장 큰 정수를 반환
MOD 지정된 숫자를 나눈 나머지 값을 반환

참고 : Do it! 오라클로 배우는 데이버베이스 입문

 


 

ROUND 

TRUNC 함수와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함수 중 하나.

특정 숫자를 지정할 수 있고 반올림할 위치도 지정할 수 있다.

반올림할 위치를 지정하지 않는다면 소수점 첫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을 하고 결과를 반환한다.

ROUND([숫자(필수)], [반올림 위치(선택)])

ROUND 함수 예제

 

ROUND 함수 예제 결과

반올림 위치 지정 값이 양수일 경우 반올림 위치가 더 낮은 소수점으로 향하고,

반올림 위치 지정 값이 음수라면 반올림 위치가 정수 쪽으로 향하게 된다.

예를 들어 ROUND(1234.5678, 2)로 지정하였다면 결과는 1234.57이 되며,

ROUND(1234.5678, -2)로 지정하였다면 결과는 1200이 된다.

 


 

TRUNC 

ROUND와 비슷하지만 지정 위치에서 값을 버리는 함수이다.

버림 위치를 지정해주지 않는다면 소수점 첫 번째 자리에서 숫자를 버리고 결과 값을 반환한다.

TRUNC([숫자(필수)], [버림 위치(선택)])

TRUNC 함수 예제

 

TRUNC 함수 예제 결과


 

CEIL, FLOOR

CEIL과 FLOOR 함수는 사전적으로 천장과 바닥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듯,

CEIL 함수는 지정한 숫자보다 큰 정수 중 가장 작은 정수 예를 들어 3.14라는 값이 있다면 4를 반환하고,

FLOOR 함수는 지정한 숫자보다 작은 정수 중 가장 큰 정수 예를 들어 3.14라면 3을 반환하게 된다.

 

CEIL ([숫자 (필수)])
FLOOR ([숫자 (필수)])

CEIL, FLOOR 함수 예제

 

CEIL, FLOOR 함수 예제 결과


 

MOD

MOD는 값을 나눈 후 나머지 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자바의 % 연산자와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MOD ([나눗셈될 숫자(필수)], [나눌 숫자(필수)])

 

 

MOD 함수 예제

 

MOD 함수 예제 결과

 

 

 

 

본 포스팅은 필자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오류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참고 : 참고 : Do it! 오라클로 배우는 데이버베이스 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