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SR - 380
- Spring
- Dependency Injection
- DDL TRUNCATE
- 자바 List
- DDL DROP
- 오라클 TRUNCATE
- 오라클 DROP
- properties 파일 주입
- properties 파일
- properties 변수
- ddl alter
- 자바스크립트
- Spring 커맨드 객체
- 스프링 인터셉터
- collection framework
- Spring MVC5 기본 세팅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 Spring message
- 오라클 CREATE
- Servlet cookie
- Spring 객체로 주입받기
- 자바
- JSR - 303
- 자바오류
- Mybatis 오류
- Spring Cookie
- 스프링 파라미터 추출
- annotation
- Spring MVC Interceptor
- Today
- Total
개발이좋아
[책 리뷰]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개정판) By 구멍가게 코딩단 본문
![]() |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는 남가람 북스에서 출간하였고 구멍가게 코딩단님께서 집필하신 책이다.
해당 도서는 스프링에 관한 도서를 여기저기 알아보던 중 개발자 커뮤니티 등에서 실무에 초점을 맞춘 책이라는 추천글들이 많아 구매하였다.
책을 구매하기 앞서 이리저리 알아보았는데, 설명에 빠진 코드 등이 있다는 내용을 들어 구매를 망설이다가 결국 구매하였고, 아직 끝까지 학습을 하진 않았지만 책의 내용은 만족스럽다.
당연하게도 소스코드를 구멍가게 코딩단 카페에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누락된 코드는 해당 카페에 있는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하여 확인해볼 수 있다.
테스트 코드를 굉장히 잘 이용한다.
책은 약 700페이지의 분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자는 그중 200페이지 정도 학습을 진행하였는데, 대부분의 코드가 테스트 코드를 거쳐 작성하게 되어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코드를 작성했다면 테스트 코드를 통해 연결이 잘 되었는지 연동에 무슨 문제는 없는지 등등 테스트 코드를 거쳐 학습을 진행하기 때문에 실제 코드를 실행해보기 전에 문제점을 알 수 있다.
사실 이 글을 쓰는 필자는 최근에 STS를 이용하여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해 본 적도 없고, STS를 이용할 때도 테스트 코드를 이용하지 않았다. (이는 필자가 현업 종사자가 아닌 이유도 있으며, 아직 초보 개발자여서 TDD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해서였다.)
필자가 지금까지 본 다른 서적이나 인강에서는 테스트 코드를 활용하는 책이나 인강은 별로 없었으며, 왜 테스트 코드를 이용해야 하는가의 대한 설명이 자세히 나와있어 테스트 주도 개발 (TDD)가 왜 중요한지 알 수 있었다.
필자와 같은 초보 개발자 입장에서는 테스트 코드에 대한 활용법만을 배워도 충분히 값진 책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실무 지향적인 내용 구성
본 책을 구매하기 전 필자가 해당 게시물을 검색하며 찾아낸 정보는 본 책이 실무에 맞혀져 있다는 내용이었다.
이 점은 아직 끝까지 학습을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뭐라 설명하기가 어렵지만 기본적인 CRUD와 페이징 처리, 파일 업로드, 스프링 시큐리티, Ajax 통신을 이용한 댓글 처리, 자동 로그인, AOP의 개념 등등 책의 목차를 보면 충실한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고 생각한다.
또 한 XML을 이용한 프로젝트 세팅 법 외의 요즘 많이 사용하는 Java 파일을 이용한 세팅법 또한 같이 설명하고 있으므로 어떤 세팅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함에도 이 책의 내용을 활용할 수 있다.
실무에 맞혀져 있어 처음 스프링을 배우는 사람에게는 어려운 내용
필자가 스프링을 공부한지는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인지 몇몇 어려운 내용이 있었다.
예를 들어 영속 계층 등의 표현이 있는데, 처음 스프링을 접하는 사람은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 글을 쓰는 필자는 머리가 좋지 않아서 몇 번이고 코드를 들여다보고 직접 코딩해보고 해야 이해하는 사람이어서 그럴 수도 있다.
이는 스프링의 대한 자세한 설명이 아닌 실무 중심 책의 내용이 채워져 있어서 그렇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스프링을 처음 배우는 사람은 이 책을 처음에 보는 것이 아닌, 다른 도서나 인강을 먼저 듣고 스프링의 개념의 대하여 먼저 배운 후 책을 구매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개념을 아는 것과 활용하는 것은 확실히 다르다고 생각하며, 해당 책은 개념보다는 활용에 중심이 맞혀져 있기 때문이다.
해당 책의 처음 소개에는 책에는 스프링의 대한 이론보다는 실무 개발에서 도구로서의 스프링을 설명한다고 나와있다.
그런 만큼 스프링을 처음 배우는 사람은 먼저 스프링의 개념을 배운 후 이 책을 학습하는 게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한다.
물론 그전에 필수적으로 Java와 JSP/Servlet, 데이터 베이스를 선행학습해야 한다.
처음 스프링을 배우는 사람은 스프링 퀵 스타트라는 도서를 추천한다.
별로 좋지 못한 인쇄 상태
처음 이 책을 받고 몇 장 넘겼을 때의 소감은 인쇄 상태가 좋지 못하다는 것이였다.
이는 필자가 주문한 책만 이럴 수도 있다.
하얀 색의 설명란은 깨끗하지만 회색의 박스 모양으로 되어있는 코드란은 마치 잉크가 먼진 것 마냥 깨끗하지 못하였다.
코드를 보는데 불편함은 있지만 알아볼 수 없을 정도도 아니고, 교환을 받기에는 귀찮아 교환을 하진 않았고, 다행히도 처음 100페이지 내외에만 이런 현상이 있고 그 이후로는 인쇄 상태가 깔끔했다.
이는 필자의 책만 이런 것 같다.
전체적으로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는 만족스러우며 다른 사람에게도 쾌히 추천할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실무에 맞혀진 스프링 도서를 구매하고 싶은 사람에게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해당 포스팅은 필자의 사비로 구입한 책의 대한 리뷰이며 다른 사람의 리뷰와는 의견이 다를 수 있습니다.
'Web개발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MVC] 프로젝트 설정 방법에 따른 Mybatis sql 실행법 (0) | 2020.04.08 |
---|---|
[Spring MVC] Spring MVC 프로젝트에 Mybatis 연동 (Java 설정, Xml 설정) (0) | 2020.04.08 |
[Spring MVC] Spring MVC에서 쿠키(Cookie) 사용하기 (0) | 2020.04.06 |
[Spring] properties 파일 내용을 변수에 주입하기 (@PropertySource, @PropertySources, @Value) (0) | 2020.04.02 |
[Spring] JSR - 303, JSR- 380 유효성 검사 Annotation (0) | 2020.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