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DDL DROP
- Spring
- ddl alter
- 자바오류
- 자바
- 스프링 파라미터 추출
- collection framework
- Spring message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 Spring MVC5 기본 세팅
- 오라클 DROP
- properties 파일 주입
- 자바스크립트
- properties 변수
- Servlet cookie
- 오라클 CREATE
- Dependency Injection
- Spring MVC Interceptor
- 스프링 인터셉터
- properties 파일
- DDL TRUNCATE
- Spring Cookie
- JSR - 303
- Spring 커맨드 객체
- 자바 List
- Spring 객체로 주입받기
- annotation
- 오라클 TRUNCATE
- Mybatis 오류
- JSR - 380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Spring 커맨드 객체 (1)
개발이좋아
[Spring] Command 객체란? (객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파리미터 주입하기)
Spring에서는 클라이언트의 파라미터 값을 일일이 추출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커맨드 객체라는 객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파라미터 값을 주입받을 수 있다. 객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식은 Map으로 받는 방식과 커맨드 객체로 받는 방식으로 나뉘며, Spring에서 사용하는 Commnad 객체란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넘어오는 파라미터 데이터를 설정해준 객체의 프로퍼티(변수, setter/getter)에 자동으로 주입해주는 객체이다. 이때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은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맵핑되어 있는 컨트롤러의 메서드의 매개변수에 작성해주며 생략이 가능하다. @ModelAttribute에 의해 커맨드 객체에 자동으로 주입된 값들은 RequestScope..
Web개발/Spring
2020. 3. 21. 17:49